30대 산모의 자율신경실조증 치료 사례

육아 및 출산 후 스트레스로 인한 자율신경실조증 치료 사례입니다.

주요 증상

  •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 불면과 이로 인한 피로감

  • 구강작열감

치료 결과

  • 총 2.5개월 소요
    • 1개월 차, 보심+청심 처방 : 가슴쪽 열감이 어느 정도 호전, 입면이 잘 되지 않아 잠들지 못하던 일수가 이전에 비해 줄어듦, 구강작열감 호전

    • 2개월 차, 보심+청심 처방 : 불면이 호전되면서 피로감 완화, 열 순환이 제대로 되기 시작하면서 구강작열감이 완화되며 식사하기가 수월해지고 두통도 전보다 호전됨

    • 3개월 차, 보심+청심 처방 : 체열의 순환이 많이 좋아졌고 부교감신경의 활성도가 많이 완화됨. 스트레스성 두통, 구강작열감 등이 호전되면서 치료 종료

자하연의 진단

1

마음 상황

아기를 낳은 지 3개월이 채 되지 않은 젊은 여성 분이었다.
일찍이 결혼하고 아이까지 낳게 되면서 처음에는 마냥 좋았지만 주변 또래의 친구들을 보면서 마냥 부럽기도 했지만 아이를 보면 부러움도 싹 잊혀질 정도로 마냥 좋았다고 한다.

 

하지만 아이가 밤에 잠을 잘 못자고 중간 중간 깨는 횟수가 잦아지다 보니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불면이 심했고 낮에는 이로 인한 피로감에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기가 힘들 정도였다. 

아 스트레스가 지속되면서 평소에는 가끔씩 나타나던 두통도 거의 매일 반복되면서 괴로워졌다. 보통 4~50대 갱년기 시기에 많이 나타나는 구강작열감 증상도 있었고 구강작열감이 심한 날은 입맛이 없어 끼니를 거르기도 했다.

2

몸 상황

전반적으로 가슴과 얼굴 쪽에 특히 열이 심하게 몰려 있었다.
출산 후 고된 육아와 스트레스가 지속되어 심장이 과열된 양상.

 

심장에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다 보면 기능에 이상이 생기고 자율신경이 비활성화되면서 균형이 무너진다.

 

이 환자분의 경우 신체 활동을 조절하는 부교감신경이 항진되고 심장이 과열되면서 상체로 열이 몰려 두통이나 구강작열감과 불면 같은 증상들이 도드라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자하연의 치료과정

1

한약 치료

첫 달에는 심장의 기운을 보할 수 있는 보심 처방과 심장 쪽에 특히 울체된 열을 내리기 위한 청심을 합방하여 처방하였고 이로써 한 달 뒤 내원하셨을 때는 가슴 쪽 열감이 많이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잠을 깊이 자지 못하는 날도 많이 줄어들었고 구강작열감도 이전에 비해 많이 좋아진 것 같다고 말씀 해주셨다.

 

두 번째 달에는 첫 번 째 달과 동일하게 보심과 청심 처방을 함께 처방하였고 열 순환이 점차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얼굴 쪽 열감이 많이 내려가면서 타들어갈 듯한 구강작열감도 완화되어 식사하기가 훨씬 수월해졌고 두통도 전보다 호전됨

 

마지막 달에는 보심처방에 좀 더 집중하면서 청심을 합방하여 처방을 도와 드렸다. 마지막 내원을 하셨을 때는 스트레스성 두통이 많이 좋아졌고 잠도 푹자는 날이 많아졌다고 말씀해주셨다. 부교감신경의 활성도 역시 많이 완화되면서 원활하게 치료를 종료할 수 있었다.

2

심리 치료

육아로 인한 스트레스와 아기가 한창 잠에서 많이 깨는 시기인 만큼 남편의 역할도 중요하기에 남편분과의 상담도 함께 진행해다.

역할 분담이나 번갈아가며 아기를 재우는 등의 규칙을 정하는 것도 방법이 된다. 또한 환자의 두통이나 구강작열감에 도움이 될만한 생활 관리법과 도움이 될만한 차를 추천해 드리면서 증상이 심할 때는 활용해보시기를 권해드렸다.

치료결과,
그리고 자하연의 한마디

보통 아이를 낳고 난 후에 오시는 분들 중에는 산후우울로 오는 분들이 많다. 이 분 역시 지금은 자율신경실조로 인해서 이런 신체적인 증상들이 먼저 나타났지만 여기서 더 오래 방치되거나 관리가 소홀해지면 우울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는 가족들의 역할도 중요하다. 육아에도 도움을 주고 아내의 건강에도 충분한 관심과 사랑을 주어야 한다.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기면 단순히 몸 하나, 마음 하나만 힘든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모두 힘들어지기에 증상이 더 심해지기 전에 치료와 생활 관리를 시작해보시길 바란다.

자하연의 치료 사례

자하연과 함께 하셨던 분들의 희망 스토리를 전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