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치료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 눈이 자주 시리다.
-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 눈이 항상 충혈되어 있다.
- 눈이 종종 가렵고 따갑다.
- 찬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줄줄 흐른다.
- 시력이 전보다 저하되었다.
- 눈곱이 자주 낀다.
- 햇빛, 형광등 아래서 눈뜨기가 힘들다.
-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자주 든다.
- 두통이 있다.
빠른 시일 내 치료를 받으시기를 권합니다.
안구건조증의 주요한 원인 <심열증>
자하연 한의원에서는 국소적인 안구 치료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의 컨디션을 회복시킴으로써 안구건조증의 근본적인 치료를 도모합니다. 스트레스, 과로로 인해 우리 몸의 엔진인 심장이 과열되면 상부 쪽으로 열이 몰려 눈이 뻑뻑해지고 염증이 생기기 쉬워집니다. 상열로 인해 수분이 말라버린 우리 몸을 따뜻하고 촉촉하게 보하여 눈물 생성을 비롯한 우리 몸의 기능이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해야 합니다.

치료 전
이상을 나타내는 어둡고 붉은 부분이 다수 분포되어 있음.

치료 후
양호한 상태를 뜻하는 노란색으로 많은 부분이 호전됨.
자율신경실조로 인한 안구건조의 치료 원리 <정심방>
정심방이란 심장을 바르게 하는 처방입니다. 예로부터 한의학에서는 심장을 ‘모든 장기에 혈액을 순환하게 하는 에너지의 근원’이자 정신과 마음을 주관하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로 보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과로 호르몬의 변화등 기타의 원인으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안구건조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자율신경실조로 인한 안구건조증은 심장기능을 바로잡아 신경계 활동을 회복시켜 치료합니다.

정심방의 치료 효과
1. 심장 조절기능의 회복을 통한 각종 신경정신질환의 치료
정심방 요법으로 심장의 조절 기능을 회복시켜 과열된 심장은 안정시키고, 허약한 심장은 보하며 우울증, 강박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화병 등 각종 신경성 질환을 치료합니다.
2. 자율신경계의 안정화를 통한 감정 조율 기능회복 및 자가치유력 상승
교감신경이 높으면 심장박동을 촉진하여 과열을 초래하며, 부교감 신경이 높으면 심장의 기능을 저하시켜 이에 따른 신체적, 감정적 무기력증상, 우울이 나타납니다. 정심방은 자율신경의 불균형을 바로잡아 빠르게 안정시킵니다.
3. 스트레스 저항력의 상승
자율신경실조증상이 회복되고 심신이 안정되면 스트레스 수치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4. 뇌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 분비의 정상화
심장을 조율하여 모든 장기의 기능과 기혈이 조화롭게 되면, 신체의 컨디션이 전반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약에 대한 의존이나 중독 염려 없이 치료를 잘 마칠 수 있습니다.
자하연의 자율신경실조로 인한 안구건조 치료방법
1. 한약
정심방의 원리로 증상에 맞게 과열된 심장을 식히거나 허해진 심장을 보해줌으로써 자율신경의 중추인 심장을 조율하여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바로잡아 치료합니다.
각 개인의 체질과 증상, 자율신경의 상태를 분석하여 진액과 복진 이후 개인별 맞춤 처방이 이루어집니다.
- 교감신경 항진 – 정심방 청심
- 과열된 심장에 청심하는 약초들로 냉각수를 넣어주고 심장의 기능을 회복시켜 교감신경을 이완시킵니다.
- 가슴두금거림, 두통, 혀통증, 불면, 화병, 이명, 다한증, 어지러움 등
- 부교감신경 항진 – 정심방 보심
- 허약해진 심장에 보심하는 약초들로 심장을 보하여 심장의 활력을 넣어주고 부교감신경을 이완시킵니다.
- 소화기 장애, 무기력, 번아웃, 우울증, 수족냉증, 손발저림 등
2. 자율신경이완요법
1. 자율신경 교정요법(월 1회) : 검사/진맥/시술
-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실조를 진단하고 경락을 교정하여 자율신경이 조화롭게 흐르도록 교정합니다.
- 교감신경 항진 : 성상신경절이완 (합곡혈, 내정혈)
- 부교감신경 항진 : 후두부위, 경추 이완 (후계혈, 중저혈)
2. 자율신경 경혈자극요법 (일 1회 홈케어로 한 달 간 지속)
- 각각의 증상에 해당하는 자율신경을 자극하는 경혈에 피내침을 붙입니다. (24시간 이후 교환)
- 공황장애 : 소부혈
- 두통 : 중충혈
- 혀통증 : 노궁혈, 소부혈, 이간혈
- 소화기능 장애 : 대돈혈, 은백혈, 족상리혈, 합곡혈
- 어지럼증 : 족삼리혈, 중충혈
- 다한증 : 소상혈, 노궁혈
- 수족냉증 : 소충혈, 중저혈